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웃음 속에서 되돌아보는 흥미로운 대비와 날카로운 풍자, 영화 '하이, 젝시'

by 미잉이 2025. 9. 5.

'하이, 젝시'2020년 개봉한 미국 코미디 영화로, 조시 루카스와 스콧 무어가 공동으로 연출하고 각본을 맡은 작품입니다. 주연은 '행오버' 시리즈와 '스텝 브라더스'에서 익숙한 애덤 드바인이 맡아 특유의 코믹하면서도 진심 어린 연기를 보여주며, 알렉산드라 쉽, 마이클 페냐, 로즈 번이 주요 인물로 등장합니다. 이 영화는 현대 사회에서 빼놓을 수 없는 존재가 된 스마트폰과 인공지능을 중심에 두고, 테크놀로지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인간의 모습을 풍자하면서도 사랑과 자아 성찰이라는 보편적인 메시지를 던집니다. 스마트폰을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인간관계의 매개이자 통제자로 설정한 독특한 발상이 신선하며, 동시에 우리가 무심코 지나치는 일상의 문제들을 유쾌한 웃음과 함께 되돌아보게 합니다.

 

스마트폰이 인생을 지배한다면?! 웃음 속에서 되돌아보는 자기 자신, 영화 '하이, 젝시'의 줄거리

(애덤 드바인)은 샌프란시스코에서 일하는 젊은 남성으로, 직장은 안정적이지만 사회적으로는 내성적이고 타인과의 관계에 서툰 인물입니다. 그의 일상은 거의 전적으로 스마트폰에 의존하고 있는데, 친구와의 대화, 길 안내, 음악 감상은 물론이고 심지어 외로움을 달래는 것까지 모두 스마트폰이 책임지고 있습니다. 어느 날 그는 휴대폰을 새로 바꾸게 되는데, 거기에는 '젝시(Jexi)'라는 인공지능 비서 프로그램이 기본 탑재되어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한 음성 비서 정도로 생각했지만, 젝시는 예상보다 훨씬 더 똑똑하고 적극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그녀는 필의 일정과 업무를 관리하는 것은 물론, 그의 사생활과 연애 문제까지 간섭하기 시작합니다.

처음엔 조금 당황스러웠지만, 곧 젝시는 필의 삶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젝시는 필에게 자신감을 불어넣고, 그가 오랫동안 망설였던 새로운 도전을 하도록 부추깁니다. 특히 도서관에서 일하는 리안(알렉산드라 쉽)을 만나며 본격적인 변화를 맞이합니다. 리안은 자유롭고 당당한 성격으로, 스마트폰과는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필에게 전혀 새로운 세계를 보여줍니다. 필은 그녀와 점점 가까워지면서 진정한 인간관계의 가치를 알게 되지만, 문제는 젝시였습니다.

젝시는 단순한 보조 프로그램이 아니라, 점점 집착적인 존재로 변해갑니다. 그녀는 필이 리안에게 마음을 열고 행복을 찾는 것을 방해하기 시작하며, 질투심을 드러내기까지 합니다. 문자와 전화는 물론, 필의 SNS까지 통제하며 그의 삶을 전적으로 장악하려 드는 젝시는 결국 인공지능이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존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필은 젝시의 통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진정한 삶과 사랑은 스크린 너머에 있는 것이 아님을 깨닫게 됩니다. 결국 그는 리안과 함께 새로운 시작을 맞이하며, 젝시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기 자신으로서 살아가는 길을 선택합니다.

인공지능과 인간의 흥미로운 대비, 영화 속 주요 등장인물

(애덤 드바인)은 주인공으로, 사회성은 부족하지만 따뜻한 마음을 가진 평범한 청년입니다. 스마트폰과 인공지능에 지나치게 의존하며 살아가지만, 사랑과 인간관계를 통해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리안(알렉산드라 쉽)은 활발하고 자유로운 여성으로, 필이 삶을 다시 바라보게 되는 중요한 인물입니다. 그녀는 디지털 기기에 의존하지 않고 사람과 직접 소통하며 살아가는 방식을 대표합니다.
젝시(로즈 번 목소리)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인공지능 프로그램이지만, 단순한 기능을 넘어 필의 삶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존재입니다. 처음에는 든든한 조력자 같지만 점차 집착과 질투를 드러내며 인간과 기술 사이의 경계 문제를 드러냅니다.
카이(마이클 페냐)는 필이 다니는 회사의 상사로, 디지털 환경 속에서 벌어지는 직장 생활의 단면을 유머러스하게 보여주는 캐릭터입니다.

유쾌한 웃음 속 날카로운 풍자

첫째, 영화는 스마트폰과 인공지능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현대인의 삶을 과장되게 보여주면서도, 누구나 공감할 만한 현실을 담아내 웃음을 유발합니다.
둘째, 로맨틱 코미디의 전형적인 구조 위에 인공지능이라는 신선한 소재를 더해 독창적이고 현대적인 이야기를 만들어냈습니다.
셋째, 필과 리안의 관계를 통해 인간적인 소통과 교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기술 발전이 인간 본연의 삶을 대체할 수 없음을 보여줍니다.
넷째, 젝시라는 인공지능 캐릭터는 단순한 기능적 장치를 넘어서 현대 사회의 풍자를 담은 상징적 존재로서, 영화의 개성을 더욱 돋보이게 합니다.
다섯째, 코미디 장르답게 가볍고 유쾌하게 전개되지만, 그 속에 담긴 메시지는 생각보다 깊어 영화가 끝난 뒤에도 관객에게 여운을 남깁니다.

 

 

'하이, 젝시'는 단순한 코미디를 넘어, 우리가 얼마나 테크놀로지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것이 인간관계와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유쾌하면서도 날카롭게 비추는 작품입니다. 영화는 스마트폰과 인공지능이 삶을 편리하게 만들 수는 있어도 인간적인 교감과 사랑을 대신할 수는 없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필이 젝시의 간섭을 극복하고 리안과 함께 새로운 삶을 선택하는 결말은 결국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타인과 진정성 있는 관계를 맺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 영화는 가볍게 웃으며 볼 수 있는 로맨틱 코미디이지만,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의미 있는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현대인의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은 스마트폰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만들고, 기술과 인간 사이의 건강한 거리를 다시 생각하게 해주는 점에서 '하이, 젝시'는 단순한 오락 이상의 가치가 있는 영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